청도 석빙고 문화·유적

- 청도 석빙고

길이 맑고 높은 산에 감싸여 경치가 아름다우며 안동에 버금가는 유림세력이 뿌리를 내린 고장인 경북 청도에는 돌로 만든 얼음창고였던 보물 제323호 청도 석빙고가 남아 있습니다.

예전에 한여름의 무더위를 피하기 위해 왕실과 중앙은 물론 지방 행정중심지에 석빙고를 마련하여 겨울에 떠놓은 얼음을 저장하였다가 한여름에 사용하였는데, 화양읍에 있는 석빙고도 그런 것 가운데 하나입니다.
- 청도 석빙고를 찾은 일행들

현재 남한에는 여섯 군데 석빙고가 남아 있는데, 그 중 축조연대가  가장 이른 것이 바로 청도 석빙고로 숙종 39년(1713년)에 만들어졌습니다.

청도 석빙고는 원형을 일부 잃고 있는데, 봉토는 모두 유실되었고 홍예보 사이를 덮었던 판석들도 대부분 달아나 지상으로는 홍예보 네 줄만이 초승달처럼 솟아올라 내부가 훤히 들여다 보입니다. 이렇게 골격이 모두 드러난 덕분에 여느 다른 석빙고와는 달리 내부의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청도 석빙고 내부 모습

형태는 동서로 긴 장방형으로 길이 15m, 폭 5m, 높이 4.4m의 규모이며, 출입구는 서쪽으로 나 있고, 빙고 바닥과 지상의 중간 지점에 문을 내었던 듯, 문지도리 홈자국이 깊숙한 돌이 바닥까지 이어진 돌계단의 가운데쯤에 디딤돌보다 길게 박혀 있습니다. 얼음이 녹아 생긴 물이 잘 빠지도록 석빙고의 바닥은 경사가 져 있고, 이 바닥 아래로 스며들어 배수가 되도록 하였습니다.

비록 지붕이 없어지고 뼈대만 남아 있어 햇빛과 바람이 수시로 드나들지만 한여름에도 석빙고 안을 들어서면 지상과는 상당한 온도차를 느낄 수 있어 얼음을 보관하였던 석빙고의 위력을 실감할 수 있습니다.

덧글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