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석빙고 문화·유적

- 경주 석빙고


즈음이야 집집이 냉장고가 있어 얼음이 필요할 때마다 사시사철 언제든 쓸 수 있지만, 이전에는 겨울철 외엔 얼음을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 만큼이나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그 당시 여름철에 얼음을 쓰려면 겨울철에 얼음을 저장했다가 꺼내 쓰는 수밖에 없는데, 이런 목적으로 만든 게 석빙고라는 얼음 창고입니다.

이런 석빙고가 조선시대에 여러 지역에서 만들어졌는데, 경주 반월성에 있는 석빙고도 바로 그런 경우입니다.
이 석빙고영조 14년(1738년)에 부윤 조명겸이 해마다 얼음 보관창고를 지어야 하는 백성들의 괴로움을 덜어주기 위해 석재로 영구적인 창고로 만들었던 것으로, 비슷한 시기에 만든 석빙고 가운데서는 가장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습니다.
- 석빙고 글씨


세월이 270년이나 흘렀지만 지금도 석빙고 입구에는 '석빙고'라고 쓴 글씨가 선명하게 남아 있습니다.
- 석빙고 입구


경주 석빙고의 출입구는 높이 1.78m, 너비 2.01m이며, 계단을 설치하여 안으로 들어가게 하였습니다.

이 석빙고 옆에는 석비가 있어 축조연대를 알 수 있는데, '숭정기원후재무오(崇禎紀元後再戊午)'라는 글자로 보아 1738년(영조 14년)에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시 입구의 문지방돌에 '숭정기원후재신유추팔월이기개축(崇禎紀元後再辛酉秋八月移基改築)'이라 새겨진 글자로 보아, 축조한 지 3년 만에 현위치로 옮겨 개축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서쪽으로 약 100m 되는 곳에 옛터로 전하는 자리가 남아 있습니다.
- 석빙고 내부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바닥을 경사지게 하여 물이 밖으로 빠지도록 하였고, 중앙에 배수로를 설치하였습니다.

내부는 동서로 아치 모양의 홍예 다섯 개를 들어 올리고, 그 사이마다 장대석을 걸쳐 천장을 삼았습니다.
북벽은 수직으로 쌓았으며 홍예와 홍예 사이의 천장 세 곳에는 환기 구멍을 만들었습니다.
- 경주 석빙고


환기 구멍은 밖에서 보면 더 뚜렷하게 보입니다.
환기 구멍은 중심부에서 북쪽으로 치우쳐 있는데, 이것은 입구가 남쪽에 있으므로 안으로 내려가는 층계가 몇 단 있어서 그만큼 자리를 차지하고 있고, 얼음 창고의 주실(主室)이 좀 더 깊이 들어간 내부의 북쪽에 있는 때문입니다.

전체적인 구조는 반월성 북쪽의 성둑에 잇대어 석빙고를 쌓고 남쪽에 입구를 내었습니다. 석빙고 윗부분에는 보이는 환기 구멍의 지붕은 근래 수리할 때 다른 석탑의 지붕돌을 사용한 것으로 원래의 것은 아닙니다.

덧글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