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신당리 석불 문화·유적

- 청도 신당리 석불

도 남산(南山) 서쪽 끝머리에 신당리(新堂里)가 있습니다. 이곳에 이실(耳谷)마을이 있습니다.

마을 양쪽의 산등선 모양이 사람 귀(耳)를 닮았다 하여 '이실(耳谷)'이란 이름이 붙여졌다고 하며, 그전에는 이길(梨吉)이라 했습니다. 이실마을은 1600년 초에 피난 차 이곳에 머물던 의성 사람 김경원(金慶元)이 정착하여 마을을 가다듬고 새로운 터전을 마련하여 의성 김씨 마을이 되었습니다.

마을 동쪽에 절터가 있습니다. 의성 김씨 재실인 추원재(追遠齋)가 있는 곳 일대가 그곳입니다. 이곳에서 마을 쪽으로 약 100m 떨어진 길옆에 자그마한 석불이 있습니다.
- 신당리 석불

석불은 결가부좌한 좌상입니다.
- 앞모습

석불은 머리도 깨어져 없어졌고, 남아 있는 불신마저도 마모가 심해 자세히 알아볼 수 없습니다. 법의는 통견으로 보이며, 오른팔은 무릎 쪽으로 내렸고, 왼팔은 가슴 쪽으로 올렸습니다.
- 옆모습

석불의 옆모습입니다. 깨어지고 닳아서 얼핏 보면 그냥 돌덩이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 석불 주변 모습

석불이 처음부터 이곳에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원래는 지금 재실이 있는 절터에 있었을 것입니다.

동네 사람들의 말에 의하면 이 석불은 빗물에 산에서 떠내려왔다고 하며, 한때 도난당한 것을 다시 찾아와 이곳에 모셨다고 합니다. 석불의 조성 시기는 통일신라시대 말~고려시대 초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덧글

댓글 입력 영역